알쏭달쏭 맞춤법 알아보기
소중한 공감/구독은 제게 힘이 됩니다:)
안녕하세요. 호기심 씨의 국어 공부입니다. 이번 포스팅에서는 자주 헷갈리는 단어 '굳이' vs '구지' vs '궂이' 에 대해 전해드리고자 합니다. '00 이렇게 까지 해야 하나'에서 00은 '굳이'일까요? '궂이'일까요? '구지'일까요? 함께 공부해보아요:)
궂이vs굳이vs구지, 올바른 맞춤법은?
'굳이'가 표준어입니다. '굳이'가 [구지]로 발음이 되어 이를 바른 표기로 알고 계신 분들이 많습니다. 하지만 '굳이'는 발음대로 쓰지 않습니다. 그 이유를 '굳이'의 정의와 함께 이어서 알아보도록 하여요:)
'굳다'의 형태소와 정의
'굳이'는 '굳다'의 형용사 어근 '굳'에 부사를 만드는 접미사 '-이'가 붙은 단어입니다. (참고로 '굳'은 실질 형태소이며 '-이'는 형식 형태소입니다.) 부사 '굳이'는 첫째, '단단한 마음으로 굳게'라는 뜻이 있습니다. (예: 굳이 시간을 내다.) 둘째, '고집을 부려서'라는 뜻이 있습니다. (예: 굳이 사양하다.)
구개음화에 대하여
'굳이'는 한국 맞춤법 제3장 제2절 제6항의 구개음화에 대한 규정에 따라 [구지]로 발음되나 '굳이'로 표기합니다. 제2절 구개음화 제6항의 규정은 아래와 같습니다. 'ㄷ', 'ㅌ', 받침 뒤에 종속적 관계를 가진 '-이' 나 '-히'가 올 적에는 그 'ㄷ', 'ㅌ' 이 'ㅈ', 'ㅊ'으로 소리 나더라도 'ㄷ', 'ㅌ'으로 적는다.
* 종속적 관계란? 실질 형태소(굳-)와 형식형태소(-이)의 결합관계를 말합니다.
위 구개음화의 예시어로 '맏이' '해돋이' '같이' '걷히다' '닫히다' '묻히다' 등이 있습니다. 즉, 굳이'는 소리 나는 대로 적지 않고 형태소 본 모양을 밝혀 적는 현대 국어의 표기에 따라 '굳이'로 표기하니 기억해주세요:)
'궂이'와 '구지'는 틀린 표기입니다.
<맞춤법 퀴즈, 정답도 함께>
짓궂다 짖궂다/ 짓궃다 짓굳다/ 올바른 표기법은?
장난이 짖궂다? 짓궂다? 모두들 안녕하신가요? 이번 호기심씨의 국어 공부에서는 헷갈리는 맞춤법 '짓궂다'와 '짖궂다' 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. '짓굳다' 혹은 '짓궃다' '짖궂다' 등으로 혼동
hogisimspoon.tistory.com
모쪼록 아무쪼록/ 올바른 맞춤법은? (복수 표준어 규정)
헷갈리는 맞춤법 (아무쪼록vs모쪼록) 끝까지 승승장구하시길 바랍니다. 위의 표현에서 '아무쪼록'이 맞을까요? '모쪼록'이 맞을까요? 종종 헷갈릴 때가 있는데요. 이번 포스트에서 함께 알아보도
hogisimspoon.tistory.com
참고자료: 한글 맞춤법, 표준국어대사전, 국립 국어원
댓글